2025년 팰리세이드가 풀체인지 되면서 9인승 모델이 출시되었습니다. 
1열 센터 콘솔 자리에 좌석을 추가해서 9인승을 만든 것 입니다. 실제로 앉아보면서 그 공간을 체험해봤습니다.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에 방문했는데, 팰리세이드가 많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디자인이 많이 개선되어 더 세련된 느낌을 주었고, 특히 전면 헤드라이트 디자인이 기존보다 한층 더 현대적이고 날렵해졌습니다. 다만, 전면 헤드라이트보다 큰 방향 지시등은 조금 과한 느낌입니다.


뒷모습은 그나마 나은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팰리세이드를 구경하고 있어서 조금 기다렸다가 9인승 모델을 타볼 수 있었습니다.

이 센터 콘솔을 펴면 좌석이 나옵니다.


아래 끈을 당기면서 센터콘솔을 뒤로 세워주면 됩니다.


이 "끈"으로 된 "레버" 가 운전석 의자와 가운데 의자 사이 공간 속으로 들어가 있어서 찾는데 애를 먹었습니다.

좌석 시트의 폭은 대략 이정도 사이즈입니다. 팰리세이드 가격 안내 책자를 놓아봤습니다.

반응형


안내 책자 가로 크기가 약 29.5cm 인데 거의 딱 맞습니다. 이 정도 크기라면 성인이 앉기에는 조금 불편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80cm 정도의 성인이 앉아봤는데, 다리가 상당히 불편하며 좁은 폭 때문에 어깨끼리 부딪히는 불편함도 있었습니다. 덩치가 작은 사람만 앉을 수 있을 정도로 크기가 작습니다.

 


실제로 이 좌석에 앉을 수 있을 정도로 실용적이지는 않지만, 9인승 차량을 6명 이상 탑승했을 때 고속도로에서 버스 전용 차로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팰리세이드 9인승 모델을 출시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 가지 더 아쉬운 점은, 좌석을 접었을 때 안전벨트 버클과 간섭이 생겨서 등받이에 버클 자국이 남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부분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최근 제 팰리세이드 디젤 차량에서 요소수 경고등이 점등되었습니다. 
제 차량은 약 9,000km 주행 후마다 요소수 경고등이 켜지며, 이때마다 10리터씩 보충해 주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약 9,000km를 주행하고 나서 경고등이 들어왔습니다.


요소수 게이지를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은 상태였습니다.


팰리세이드 차량의 경우 요소수 경고등이 점등되면 약 1,000km 정도 더 주행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주행 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요소수 부족 경고가 켜지면 다소 불안할 수 있지만, 급하게 요소수를 찾지 않아도 됩니다.

요소수 대란때는 미리 요소수를 구매해 놓기도 했는데, 요즘 같은 경우 경고등이 점등된 후에 주문을 해도 늦지 않습니다.
유록스 요소수로 구매했습니다. 호스 포함여부를 확인하시고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호스를 사용해서 요소수를 주입할 때 중요한 점은 호스의 공기 구멍(아래 동그라미 안의 구멍)을 위로 향하게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잘못 맞추면 요소수가 새거나 잘 주입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 차량의 요소수 게이지가 9시 방향에 있을 때, 10리터를 정확히 다 주입할 수 있었습니다. 잔량이 많을 경우 넘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요소수를 주입할 때, 소리를 듣고 있으면 점점 차오르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씩 넣으면서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기적으로 요소수를 점검하고 보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소수는 차량의 성능 유지와 배출가스 규제를 준수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니, 경고등이 켜지면 미루지 말고 보충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팰리세이드(LX1) 디젤 모델의 배출가스등급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차량번호로도 조회가 가능하지만 저는 배출가스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조회해 보았습니다.

배출가스인증번호는 배출가스표지판에 있는데, 본네트를 열어서 안쪽을 살펴보면 배출가스표지판을 찾을 수 있습니다. 팰리세이드의 경우 아래 사진의 위치에 있었습니다.

 

 

아래와 같은 표지판입니다. 인증번호는 JMY-HD-14-96 입니다.

 

 

자동차 배출가스 누리집에서 조회하였습니다.
https://www.mecar.or.kr/ceg/myCar/myCarGradeCerti.do

 

소유차량 등급조회|자동차배출가스 종합전산시스템

* 개인 또는 법인/사업자 구분을 선택해 주십시오.

www.mecar.or.kr

 

조회 결과 팰리세이드 디젤은 배출가스등급 3등급차량입니다.

 

 

빨간색 "3등급" 을 클릭하면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차량 번호로 조회하는 방법은 https://ls-al.tistory.com/238 를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팰리세이드 내비게이션 설정 메뉴를 보다가 '경치 좋은 길' 안내 기능을 발견하였습니다. 

경로 검색시에 경치 좋은 길을 지도에 표시해주는 기능이라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꺼져있는 기능이며, 체크를 해주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대 홈페이지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공지에 경치 좋은길 목록이 있는데, 아마 이 길들을 안내 해주지 않을까 합니다.

 

https://update.hyundai.com/KR/KO/updateNoticeView/otgE3u

 

현대자동차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공식 홈페이지

현대자동차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공식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내비게이션 업데이트로 최신화된 다양한 도로 정보를 누려보십시오

update.hyundai.com

반응형

 

강릉 7번국도 드라이브 코스중, "강릉 헌화로"를 클릭해 보았습니다.

 

경로가 지도에 표시되고, 주요 경치를 보여줍니다.

경치 좋은 헌화로 코스를 잘 표시해 주고 있습니다.

 

네이버 지도 로드뷰 보면서 경로를 정하고 위치별로 경유지 찍어가면서 드라이브 했었는데, 이 기능을 이용하면 편하게 경치 좋은 경로를 찾아 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드라이브를 좋아하는데, 써보고 싶은 기능입니다.

728x90
반응형

 

팰리세이드 디젤 DPF 재생중 일때, 연비와 진동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 보았습니다.

 

연비

팰리세이드에는 DPF가 달려있는데, DPF 재생시에 연비가 떨어집니다.
평소보다 연비가 잘 안나올 경우 DPF 재생이 진행중일 수 있습니다.

 

아래는 DPF 재생 중일 때 연비입니다.

 

 

교통 체증으로 평균속도가 낮은 것도 있지만 DPF 재생으로 인해 연비가 평소보다 많이 떨어졌습니다.

 

아래는 DPF 재생 안할 때, 연비입니다. 거리 및 평균속도가 거의 비슷한 반면 연비는 2km/L 정도 높습니다.

 

 

DPF 재생을 하게 되면 경험적으로 2~4km/L 정도 연비가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진동

연비 외에도 진동이 평소에 비해 확연히 줄어들면 DPF 재생중일 확률이 큽니다.

평소 진동은 아래 글을 참고 하시면 됩니다.

 

https://ls-al.tistory.com/182

 

팰리세이드 2.2 디젤 HTRAC 컵홀더, 대쉬보드, 핸들 진동 측정

4기통 디젤의 진동이 어느 정도인지 물병과 진동계 어플을 이용해서 측정해 보았습니다. 디젤 차량을 출고하면서 가장 걱정했던 부분이 진동이었습니다. 7600km 정도 운행했는데 정차시에 진동이

ls-al.tistory.com

반응형

 

DPF 재생중에 진동을 측정해 보았습니다. 핸들에 놓고 측정했는데 이전에 비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평상시에는 진동이 평균 2.3 이었으나, DPF 재생중에는 평균 1.3 으로 진동이 줄었습니다.

핸들을 잡고 있으면 미세한 진동이 있긴 하지만, 불쾌감이 전혀 없는 수준입니다.

 

 

 

 

DPF재생을 하게 되면 평소에 비해 연비는 2~4km/l 정도 떨어지고, 진동은 확연히 줄어듭니다.

728x90
반응형

 

11월말~12월초 동안 출퇴근하면서 팰리세이드 디젤 2.2 HTRAC 겨울철 연비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출고 후, 누적 주행거리 27000km를 넘긴 시점에서 어떤 변화가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예전의 풀투풀 연비 측정과 마찬가지로 100% 시내주행 출퇴근 연비입니다.

컴포트 모드이고 ISG는 시동 후 바로 껐으며, 일상적인 주행을 하였습니다. 연비를 위해서 특별히 신경쓰거나 한 것은 없고, 평소 급가속/급감속은 거의 안하는 편입니다.

 

지난 연비 측정 결과들을 보시면 9.5km/L~10km/L 정도 연비가 나왔었습니다.

https://ls-al.tistory.com/181

 

팰리세이드 2.2 디젤 HTRAC(사륜)의 두번째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 측정

팰리세이드 디젤 htrac(사륜)의 두번째 풀투풀 연비 측정입니다. 2월에 출퇴근하면서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 측정을 한번 했었습니다. https://ls-al.tistory.com/155 팰리세이드 2.2 디젤 HTRAC 사륜 시내주

ls-al.tistory.com

 

이전에 경유 가득 주유하고 이번에 풀로 주유한 양입니다. 38.259리터를 주유하였습니다. 

이전과 동일한 주유소이지만 주유기는 다를 수 있습니다. 리터 맞춤이나 금액 맞춤없이 주유가 멈출 때 까지 가득 주유하였습니다.

 

주행한 거리 및 트립상 연비입니다.

359.4km를 주행했으며, 트립상 연비는 9.3km/L 입니다.

 

주행거리와 주유한 양을 이용해서 연비를 계산해 보면, 약 9.39km/L 입니다.

트립상 연비와 거의 일치합니다. 이전에 비해 다소 연비가 떨어지긴 했지만 저의 주행 패턴에서는 9~10km/L 정도는 나오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해당 연비 측정 기간 중에 DPF 재생이 한번 있었습니다.

 

 

추가로 몇일 전 장거리 여행을 다녀오면서 고속도로 주행을 한 적이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 고속도로 주행이었고 정체가 좀 있었습니다.

100~110km/h 정도 속도로 주행하면 트립상으로 최고 15~16 km/L 정도 순간 연비가 찍히고, 속도에 따라 14km/L 대로 떨어지기도 하였습니다.

돌아오면서 가득 주유하니 주행 가능거리가 920km 로 찍혔습니다. 가득 주유소 71리터가 들어가니 약 12.96km/L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차량의 상태, 주행 스타일 그리고 막히는 정도 등등 연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워낙 많아서 대략 이정도 된다 정도로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주유하면서 본 가장 긴 주행 가능 거리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누적 주행거리 12700km 시점에 경고등이 떠서 요소수 10리터를 보충하고 다시 요소수 경고등이 점등되었습니다.

현재 22153km 주행했으니, 10리터를 보충한 후 9453km 주행한 것입니다. 

 

아래 사진처럼 요소수 레벨이 9시 방향 살짝 위에 오면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이때, 10리터를 보충해주면 넘치지 않고 다 들어갑니다. 

요소수 경고등이 떠도 1000km 정도 주행할 수 있다고 하니, 경고등이 떴을때 10리터씩 보충해 주고 있습니다.

 

요소수가 없으면 시동이 꺼지게 되고 주행이 불가능하다고 하니 경고등이 뜨면 잊지 말고 보충해 주어야 합니다.

 

 

동봉되어 있는 호스를 입구에 꽂아줍니다.

 

 

꽂을때 호스를 자세히 보면  한쪽에 공기 구멍이 있습니다. 구멍이 위로 가게 호스를 잡고 넣어야 콸콸콸 소리를 내며 잘 들어갑니다.

 

 

연료 주입구를 열고 AdBlue 라고 씌어진 파란색 마개를 열고 주입합니다. !!! 절대 !!! 연료 주입구에 넣으면 안됩니다.

 

 

 

728x90
반응형

 

팰리세이드 에어컨 필터를 교환했습니다. 지난 필터 교환후, 8000km 정도 주행하고 교환하는 것입니다.

활성탄 필터중에서 고르다가 만필터 CUK 24017로 구매했습니다. 1년 혹은 15000km 까지 성능이 유지되는 제품이라고 합니다만 저는 6개월마다 교환해주고 있습니다.

 

활성탄 필터라서 냄새나 유해가스 제거에 좋고, 미세먼지는 PM10 까지 걸러준다고 합니다. 미세먼지 제거 성능이 살짝 아쉽습니다.(미세먼지 제거에는 헤파필터 제품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팰리세이드용 만필터는 단종되어서 다른 제품으로 구매헀습니다. 필터 성능도 좋고 저렴한 제품으로 추천합니다!

 

 

자세한 제품 안내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s://ls-al.tistory.com/322

 

봄맞이 팰리세이드 에어컨 필터 교체하기. 한일 MB 활성탄 에어컨 필터 PM 1.0 초미세먼지 차단

봄을 맞아 에어컨필터를 교체했습니다. 필터 권장 교체주기는 6개월혹은 10,000km 마다인데, 거의 1년만에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만필터로 교체했었는데, 이번에는 다른 필터로 교체하였

ls-al.tistory.com

 

 

제가 구매한 제품입니다.

 

 

아래와 같이 생겼고, 겉박스가 비닐로 쌓여있습니다. 

 

예전에 구매한 E클래스 외기필터는 비닐포장 없이, 종이박스 안에 필터가 들어 있었습니다. 좀 보완된 것 같습니다.

 

반응형

 

현대자동차 에어컨 필터 교환은 정말 쉬우니 설명대로 따라하시면 초보자도 쉽게 교환할 수 있습니다. 익숙해지면 5분도 안걸리는 작업입니다. 다만 부품들이 플라스틱 소재이다 보니 무리해서 힘을 주어 강제로 빼면 부러질 수도 있습니다. 설명을 잘 보시고 적당히 힘을 주면서 하시면 됩니다. 

 

먼저, 기존 필터를 빼기 위해서 조수석 글로브 박스를 열어줍니다. 

글로브 박스 안쪽 좌우 두군데 아래 사진과 같은 플라스틱 나사(?)가 보입니다. 좌우 두개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빼줍니다.

나중에 다시 조립할때는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끼워 주면 됩니다.

 

 

글로브박스 우측 바깥쪽에 아래와 같이 걸려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부러지지 않게 살짝 힘을 주어서 검은색을 우측으로 당겨서 빼줍니다.

그러면 글로브박스가 아래로 축 처지면서 더 열리게 됩니다.

 

 

아래 사진처럼 안쪽에 필터를 넣는 곳이 보이게 됩니다. 지금은 덮개로 덮혀 있는 상태입니다.

덮개가 보이고 빨간 동그라미 부분을 보면 위, 아래로 눌러서 뺄 수 있는 걸쇠가 보입니다. 그걸 누르고 앞으로 당겨주면 덮개를 뺄수 있습니다. 왼쪽부분에도 끼우는 형태의 걸쇠가 있으니 덮개를 우측으로 살짝 밀면서 빼주어야 합니다.

 

 

필터가 보입니다.

 

 

먼지가 있으니 살살 당겨서 빼줍니다. 필터 옆면을 보면 AIR FLOW 라고 씌어진 것이 보일 것입니다. 공기의 흐름 방향인데, 어느쪽으로 화살표가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팰리세이드는 위에서 아래방향입니다. 새 필터를 끼울 때, 이 방향에 맞게 끼워주어야 하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흰색이었던 필터가 이렇게 변했습니다. 많은 먼지로 인해 활성탄 필터같이 보입니다만 활성탄 필터가 아니고 흰색 필터였습니다...

 

 

아래 사진은 이번에 구매한 활성탄 필터입니다.

필터 원단이 이전 제품에 비해 두꺼운 느낌입니다.

 

 

새 필터를 끼워줍니다.

 

이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필터를 끼울 때, 공기의 흐름에 맞게 방향을 맞추어서 끼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필터 옆면을 보면 AIR FLOW 라고 씌어있고 공기의 흐름 방향이 있습니다. 아래 왼쪽 사진을 보면, 위에서 아래쪽 방향이 공기의 흐름 방향임을 알수 있습니다.

 

기존 필터 제거시 봐 두었던, AIR FLOW 방향대로 새 필터를 끼워줍니다. 팰리세이드의 경우 위에서 아래 방향이 공기의 흐름 방향입니다. 즉, 화살표가 아래로 향하도록 끼워주면 됩니다. 

 

아래 우측 사진은 필터에 들어있는 메뉴얼 중 공기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사진입니다. 위에서 아래방향이 공기의 흐름 방향인 것을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필터 덮개는 왼쪽 걸쇠에 먼저 걸고 밀어서 우측 부분을 끼워줍니다.

글로브 박스는 역순으로 다시 조립해주면 됩니다. 

 

 

봄철 미세먼지를 대비하여 미리 교환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최근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일부 지역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어서인지 자동차 배출가스등급에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내 차의 배출가스등급을 조회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차량번호나 배출가스표지판의 인증번호를 통해서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차량번호로 조회

조회 사이트를 엽니다.

https://www.mecar.or.kr/ceg/myCar/myCarGradeCerti.do

반응형

 

개인 혹인 법인/사업자를 선택하고 "소유차량 등급조회" 를 눌러서 진행하면 됩니다. 다음 단계에서 차량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 할 수 있습니다. 차량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개인의 경우 휴대폰으로 본인 인증을 해주어야 합니다.

 

 

배출가스 인증번호를 이용한 조회

조회 사이트를 엽니다.

https://www.mecar.or.kr/ceg/myCar/myCarGradeCerti.do

 

왼쪽 메뉴중에 "배출가스표지판 등급조회" 를 선택합니다.


내차의 배출가스 인증 번호를 넣고 확인을 눌러주면 됩니다. 팰리세이드 디젤의 경우 "JMY-HD-14-96" 입니다. 팰리세이드 디젤의 경우 배출가스 3등급 차량입니다.

 



배출가스표지판은 대개 본네트를 열어서 안쪽면을 보면 찾을 수 있습니다. 팰리세이드의 경우 아래 사진과 같은 위치에 있습니다.

 

 

이상 내 차의 배출가스등급을 알아보는 방법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환경부에서는 모든 차량에 대해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양에 따라 등급을 매기고 있습니다. 이 등급에 따라 운행 제한 규제를 받게 됩니다. 서울시의 경우 2025년 부터 디젤 4등급 차량에도 일부 운행 제한 조치를 취한다고 합니다.

 

아래 경형, 소형 및 중형 승용차의 유종별 등급표입니다.

 

출처 : 환경부 홈페이지

 

표에 따르면 팰리세이드 디젤은 3등급 차량입니다. 3등급 차량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발표된 운행 규제 사항은 없습니다.

 

서울시 자료를 보면 3등급 차량은 전체 차량의 36.4%(2019년 기준)라고 합니다.  2등급 39.4%에 이어 두번째로 많습니다. 어떤 환경 문제로 언제 새로운 규제가 생길지 모를 일이지만, 등록 차량 대수가 워낙 많아서 3등급 차량까지 당장 규제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내차의 배출가스 등급은 어떻게 확인 할 수 있을까요?

본네트 내부에 배출가스 관련 표지판이 있다고 합니다. 팰리세이드의 경우 본네트를 열었을때 우측 윗쪽에 붙어 있습니다.(본네트 내부 우측 헤드라이트쪽)

 

팰리세이드는 소형승용으로 분류됩니다. 탄화수소 및 질소산화물 0.17g/km 이하(3등급 기준 0.353 g/km 이하), 입자상 물질 0.0045g/km이하(3등급 기준 0.005 g/km 이하) 로, 3등급 기준을 만족하고 있습니다.

 

내 차의 배출가스 등급을 조회하는 방법을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s://ls-al.tistory.com/238

 

내 차의 배출가스등급제 등급 조회하기,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 배출가스등급 조회방법

최근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일부 지역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어서인지 자동차 배출가스등급에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내 차의 배출가스등급을 조회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

ls-al.tistory.com

 

 

환경부 보도 자료

https://me.go.kr/home/web/board/read.do;jsessionid=6XD23IUFFMhNHH3UY75ju1sn5YeQaucCbwF1iUkrN7QGwc42URg4ND1IXRk495JX.meweb1vhost_servlet_engine1?pagerOffset=64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searchValue=&menuId=286&orgCd=&boardId=858130&boardMasterId=1&boardCategoryId=&decorator= 

 

환경부 보도·설명 - 모든 차량을 대기오염 배출량에 따라 5개 등급으로 분류

▷ 환경부, 4월 25일부터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산정에 관한 규정 개정안 시행 ▷ 전기 및 수소차 1등급, 하이브리드차 1~3등급, 휘발유·가스차 1~5등급, 경유차 3~5등급 부여하여 관리

me.go.kr

반응형

네이버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에 대한 설명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43160&cid=43667&categoryId=43667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 산정방법에 관한 규정'에 따라 운행 중이거나 제작 단계에 있는 모든 차량을 유종(휘발유, 경유, LPG 등), 연식(생산연도),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등 오염물질의 배출 정도

terms.naver.com

 

728x90
반응형

속초로 새해 일출을 보러 가면서 차박을 했습니다.
팰리세이드에 아이두젠 차박캠프 TC 카텐트와 폴라리스 이그니스 3000 침낭을 이용했고 추위를 대비해서 방석핫팩을 추가로 준비했습니다. 

2열과 3열을 접고 바닥에 발포매트를 깔고 텐트를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침낭을 깔아주었습니다.



폴라리스 이그니스 3000 침낭은 두개 연결해서 사용하였습니다. 두개를 연결하면 가로 160cm 정도 됩니다.
팰리세이드 실내 폭이 110cm 정도밖에 안되서 아쉽습니다.

차안 공기는 차갑지만 침낭 안은 꽤 따뜻했습니다. 처음에 누웠을 때, 발이 시려서 핫팩을 사용하다가 중간에 빼야할 정도로 따뜻합니다. 얼굴 부분이 추워서 버프를 착용했습니다.

제가 사용한 제품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해드리자면,

 

아이두젠 차박 차박캠프 TC 카텐트

폴대가 양 사이드에 길게 두개 들어가고 지붕에 3개가 들어갑니다. 트렁크 열지않고 차안에서도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마지막 지붕 폴대를 꽂을때는 밖으로 나와서 꽂으면 쉽게 꽂힙니다. 저는 트렁크쪽 지봉 폴대부터 꽂고, 앞쪽 마지막 폴대는 차밖으로 나와서 꽂았습니다. 설치는 쉬운데 폴대(5개)가 많아서 다소 아쉽습니다.

앞뒤로 개방이 되고 좌우 앞쪽도 개방이 됩니다. 좌우 개방되는 위치는 차량의 2열 위치와 비슷합니다. 
방충망이 있어서 여름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지붕도 한군데 개방은 되는데 방충망으로 막혀있어서 완전 개방은 되지 않습니다.

맨살이 텐트 안쪽면에 닿아도 별로 차갑지 않아서 좋습니다. 가장 만족 스러운 부분입니다. 
텐트 안쪽에 결로가 생기거나 하지도 않습니다.

머리쪽 천장에 핸드폰을 수납 할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특히, 가운데 부분은 투명해서 누워서 영화 감상도 가능합니다.

 

폴라리스 이그니스 3000

침낭은 제품이 많고 가격이 워낙 다양해서 구매하기 힘들었습니다. 

쿠팡에서 빈슨메시프 히프노스 자이언트와 가격대가 비슷해서 많이 고민했습니다. 이그니스 3000이 47000원, 히프노스 자이언트가 44900원입니다. 두 제품 모두 사각형 형태의 침낭입니다. 히프노스 자이언트와 동일한 슈퍼 마이크로 화이버 충전재를 사용하면서 3kg으로 더 많이 들어있어서 폴라리스 이그니스 3000으로 구매했습니다. 두개를 구매해서 붙여서 사용했습니다.

깔아놓으면 풍성해서 따뜻해 보이고 실제로도 상당히 따뜻합니다. 안감은 맨살에 닿아도 별로 차갑지 않는 소재로 되어있습니다.

충전재가 많이 들어있으면 더 따뜻해서 좋긴한데 부피가 커서 답답해 보입니다. 접을때도 조금 힘듭니다. 이번 차박에서 다소 더워서 이그니스 2000 제품으로 할걸 그랬나 조금 후회가 되었습니다. 추위를 많이 타지 않는 분이시라면 이그니스 2000을 사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쿠팡에서 이그니스 3000은 47000원인데, 이그니스 2000은 36900원으로 더 저렴합니다.

이그니스 2000 제품은 현재 구매가 힘든 것 같습니다.

네이버 쇼핑에서 구매수가 더 많고 평점이 높은 빈슨메시프 아이테르라는 제품이 있습니다. 충전재를 더 좋은걸 사용해서 가벼운 제품이라고 합니다. 기본형이 아닌 경우 두개를 붙였을 때 한 명은 동그란 머리 부분이 얼굴 앞쪽으로 오는 구조여서 구매를 안했지만 괜찮은 제품같습니다.

 

방석핫팩

방석핫팩은 제품도 다양하고 가격도 저렴하기에 아무거나 구매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저는 "따뜻해서 행복한 하루" 라는 방석핫팩을 구매하였습니다.

뜯어보면 아래와 같이 생겼고, 가로 세로 30cm 크기입니다. 

 

아래 구매한 제품들 링크입니다.

 

아이두젠 2020신제품 차박 캠프 SUV 차량 트렁크 카 텐트, 브라운 L 폴라리스 이그니스 R1 3000 동계 극동계 침낭 캠핑 겨울 이불 담요 베이스, 블랙, 1개 따뜻해서 행복한하루 - 방석 핫팩 (400g) 차박 캠핑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팰리세이드 2.2D HTRAC 사륜 출퇴근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출퇴근 거리는 왕복 32km 정도되고, 100% 시내주행입니다.

연비를 높이기 위해서 특별히 신경쓰거나 하진 않았고 일상적인 주행을 하였습니다.
공기압은 아래와 같습니다. 컴포트 모드를 사용하고 ISG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시동 후, 바로 껐습니다.

 

이번에 가득주유하면서 들어간 경유 양은 44.665리터입니다. 이전에도 가득 주유했기 때문에 총 44.665 리터를 사용한 것이 됩니다. 최대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이전에 가득 주유한 주유소와 동일한 곳에서 주유했지만 주유기는 다릅니다. 큰차이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이번 가득 주유까지 총 주행거리는 447.3km 이고 계산된 연비는 약 10.01km/L 입니다. 트립상 연비는 10.1km/L 입니다.

트립 연비가 너무 높게 나온다는 분들이 계시던데 저는 트립상 연비와 거의 일치했습니다.


447.3km 동안 평균 주행속도는 약 24.3km/h 입니다.
다른 사람과 연비를 비교하실때 연비 수치만 비교하면 안되고 주행 거리와 평균 주행속도도 감안해서 비교해 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긴 거리를 멈추지 않고 계속 주행할수록 연비가 높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다른 분들 후기를 보면 가솔린의 경우 디젤의 70~80% 정도 나오는 것 같습니다. 
연비는 교통신호, 도로상태, 차량상태, 날씨, 운전하는 성향 등등에 따라 차이가 크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Comfort 모드로 시내 주행 연비를 두번 측정했었습니다.

https://ls-al.tistory.com/181

 

팰리세이드 2.2 디젤 HTRAC(사륜)의 두번째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 측정

팰리세이드 디젤 htrac(사륜)의 두번째 풀투풀 연비 측정입니다. 2월에 출퇴근하면서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 측정을 한번 했었습니다. https://ls-al.tistory.com/155 팰리세이드 2.2 디젤 HTRAC 사륜 시내주

ls-al.tistory.com

 

 

Eco 모드로 할 경우 어느 정도 연비가 나오는지 궁금해서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동일한 경로를 출퇴근하였고, ISG 는 시동 후 바로 껐으며 타이어 공기압은 35 psi 입니다. 

경유를 가득 채우고 시내 주행을 하고, 다시 동일한 주유소에 가서 가득 채웠습니다.

 

트립상 연비입니다.

 

 

총 주행거리는 265.1km 이고 연비는 11.2km/L 가 나왔습니다.

평균속도는 22.2km/h 정도 됩니다.

 

 

265.1km를 주행하면서 소모한 경유의 양은 23.685리터입니다. 연비를 계산해보면 11.19km/L 입니다.

트립상 연비와 거의 일치했습니다. 

 

컴포트 모드에서는 평속 24.3km/h 에서 10km/L 정도의 연비가 나왔었는데, 에코 모드에서는 평속이 22km/h로 더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연비는 오히려 11.2km/L 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에코모드를 할 경우 어느 정도 연비 상승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행하면서 느낀 큰 차이점은, 에코모드에서는 엔진브레이크가 덜 걸려서 글라이딩 모드로 탄력 주행이 더 용이했습니다. 컴포트 모드는 일정 속도(20~30km/h??) 이하로 떨어질 때 엔진브레이크가 풀렸는데, 에코모드는 엔진브레이크가 거의 안 잡혔습니다. 이 점이 연비에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급가속을 잘 안해서인지, 가속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못 느꼈습니다.

 

이상 팰리세이드 디젤 사륜(htrac)의 에코모드 풀투풀 연비 측정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요소수 10리터로 어느 정도 주행 가능한지 알아 보았습니다.

 

출고 후, 3650km 주행한 시점에 경고등이 떠서 요소수 10리터를 보충했었습니다.
https://ls-al.tistory.com/160

 

팰리세이드 요소수 보충

요즘 나오는 디젤차량의 경우 질소산화물(NOx) 배출을 저감 시키기 위해서 SCR 이라는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데, 요소수를 넣어주어야 합니다. 팰리세이드 디젤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차량 출

ls-al.tistory.com

 

12700km 정도 주행한 시점에, 다시 요소수 경고등이 점등되었습니다.
요소수 10리터로 약 9000km 정도 주행 가능한 것입니다.
물론 주행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9시 방향 살짝 위에서 경고등이 점등 된 후, 10리터를 보충한 후 레벨입니다.

 

 

728x90
반응형

 

팰리세이드 2.2D HTRAC 출근길에  트립 연비입니다.

 

 

ISG는 시동 걸고 바로 껐으며, 에어컨 가동한 상태입니다.

시속 32.4km/h 정도 속도로 주행했구요, 연비는 14.8km/L 가 나왔습니다.

 

여름이라는 계절적인 요인도 있겠지만 차가 별로 안 막혀서 평소대비 잘 나온 것 같습니다.

 

아래 풀투풀 연비 측정 포스트도 참고 바랍니다.

 

https://ls-al.tistory.com/155

 

팰리세이드 2.2 디젤 HTRAC 사륜 시내주행 연비

팰리세이드 2.2D HTRAC 사륜 출퇴근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출퇴근 거리는 왕복 32km 정도되고, 100% 시내주행입니다. 연비를 높이기 위해서 특별히 신경쓰거나 하진 않

ls-al.tistory.com

 

https://ls-al.tistory.com/181

 

팰리세이드 2.2 디젤 HTRAC(사륜)의 두번째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 측정

팰리세이드 디젤 htrac(사륜)의 두번째 풀투풀 연비 측정입니다. 2월에 출퇴근하면서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 측정을 한번 했었습니다. https://ls-al.tistory.com/155 팰리세이드 2.2 디젤 HTRAC 사륜 시내주

ls-al.tistory.com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