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보험료는 운전자(나이, 가입경력 등등), 차량 및 보장 조건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보험료를 낮추기 위해서 나이를 많게 하거나, 차량 평가 가격을 임의로 바꿀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것들 외에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보험료 할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두 적용하면 꽤 많은 할인을 받을 수 있으니 꼭! 참고하시고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1. 보험사에서 제공하는 상품권이나 주유권 받기

보험 만기가 한달정도 남았을때 부터 기존 가입 보험사에서 만기 안내 문자나 카톡을 보냅니다.
이때 약 3만원 가량의 주유권이나 상품권을 주는 프로모션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규 혹은 갱신 가입시 3만원 상당의 상품권(ex. 신세계 상품권)이나 주유권을 주는 것입니다.

신규 가입은 다른 보험사에서 해당 보험사로 넘어오는 경우이고, 갱신 가입은 현재 가입된 보험사에 재가입하는 경우입니다. 보험사에 따라 신규가입은 3만원 상당의 혜택을 주고, 갱신의 경우 2만원 상당의 혜택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 만기 안내 문자는 받았는데, 프로모션이 없다면 좀 더 기다려 보시기 바랍니다. 
만기가 임박할 즈음에 다시 문자가 올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문자에 포함된 링크를 누르고 가입해야 적용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문자 내용을 잘 확인하고 가입해야합니다.

DB다이렉트(구. 동부화재)의 경우, 홈페이지에 카드사별 결제이벤트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벤트 기간이 정해져 있지만, 기간이 지나면 다시 이벤트를 해서 거의 상시로 하는 것 같습니다.

 

출처 : DB손해보험 다이렉트

2. 블랙박스 할인

블랙박스 할인 특약이라고 해서 가입할 때 블랙박스가 있다고 추가해주면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블랙박스 가격이 더해지면서 차량 가격이 올라가서 보험료가 조금 상승하지만 블랙박스 추가로 인한 할인 폭이 더 크기에 넣는게 유리합니다.

블랙박스 장착 사진 등록을 해주어야 합니다.

가입시에 사진이 없어도 나중에 추가로 등록 가능합니다. 필요로 하는 사진을 메모해 두었다가 가입하고 나중에 찍어서 등록해 주면 됩니다.

출처 : 삼성화재 다이렉트

 

반응형

3. 첨단 안정장치 할인

전방충돌방지장치, 차선이탈경고장치와 같은 첨단 안정 장치가 있는 차량의 경우 할인을 해줍니다.
차량 제조사에 해당 차량 정보 조회관련 동의만 해주면 쉽게 할인을 적용 할 수 있습니다.
운전하면서 평소에 쓰지 않는 기능이라 할지라도 요즘 차량들에는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꼭 조회해보고 할인 받으시기 바랍니다.

커넥티드 카 기능이 있으면 추가로 할인을 받을 수 있으니, 조회해보고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삼성화재 다이렉트

 

4. 주행 거리에 따른 할인

가입 시점에 현재 차량 누적 주행 거리를 등록하고 만기때 다시 누적 주행 거리를 등록해서 보험 가입 기간 동안 얼마나 주행했는지를 계산해서 보험료를 환급 해주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계기판 사진 등록이 필요합니다.


갱신 가입시 환급 금액만큼 할인을 받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단 계좌로 환급받고 가입하는게 편했습니다.
환급 받은 금액 기록이 계좌에 남으니 나중에 얼마나 환급 받았는지 알 수 있어서 좋습니다.

주행거리가 짧은 사람의 경우 꽤 많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행거리가 많아지더라도 불이익이 없으므로 무조건 가입하는게 이득인 특약입니다.

출처 : 삼성화재 다이렉트

5. 티맵 운전 점수에 따른 할인

거의 모든 보험사에서 가입 가능한 특약입니다. 할인 폭이 커서 무조건 가입해야하는 특약입니다.

가입하려면 티맵 운전 점수를 확인이 필요한데,  OTP 인증번호를 이용한 점수 확인 방법은 아래에 있습니다.

출처 : 삼성화재 다이렉트

 

티맵의 OTP 번호를 넣으면 나의 점수를 조회할 수 있고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OTP 인증번호는 스마트폰에서 티맵 앱을 실행하고, 티맵 앱 하단 운전점수 -> 화면 가운데 부분 내 자동차보험 혜택보기 -> 화면 우측 위 OTP 를 터치하면 볼 수 있습니다.


보험사별로 다르지만, 점수 및 주행거리에 대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특약에 가입할 수 있고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 삼성화재 다이렉트

 

 

 

이상 자동차 보험 할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안전 운전 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보조배터리에서 12V 전압을 얻는 방법을 포스팅 한적이 있습니다.

https://ls-al.tistory.com/235

 

보조배터리에서 12V 전원을 얻는 방법(블랙박스 구동) - 5V to 12V 승압, MT3608, PPS 12V, 12V UPS

차량용 블랙박스는 12V 전원이 필요한데 휴대용 보조배터리에서 12V를 얻을 수 있는 방법들입니다. 12V UPS 제품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USB 5V to 12V 승압 케이블 국내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수 있는

ls-al.tistory.com

 

블랙박스 구동을 위해서 승압보드를 이용하여 보조배터리에서 12V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실제로는 조금 높게 13.5V를 사용하였습니다. 블랙박스는 보통 12V~24V 의  전원이 필요한데, 13.5V 정도를 사용하였습니다.  블랙박스에는 차량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저전압 차단 기능이 있는데, 특정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녹화가 중지되게 됩니다. 보통 블랙박스 설정에서 전압 설정도 가능하고 이 기능을 끌 수도 있습니다. 저는 13.5V 정도로 적당히 높게 인가해 주었습니다. (블랙박스 설정을 보니 12.5V로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MT3608와 XL6009를 이용한 보드를 찾을 수 있었는데, 저는 XL6009보드를 이용하였습니다.

 

두 보드의 차이는

 

MT3608 보드는 2V~ 입력을 받아서 12V(가변저항으로 출력 전압 조정가능) 를 만들수 있고, 최대 2A 출력입니다.

XL6009보드는 3V~ 입력을 받아서 12V(가변저항으로 출력 전압 조정가능) 를 만들 수 있고, 최대 3A 출력입니다. 

 

두 보드 모두 가변저항을 이용해서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제가 구매한 보드의 경우 파란색 가변저항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출력 전압이 낮아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출력 전압이 올라갔습니다.

 

XL6009를 선택한 이유는 출력 전류가 더 높아서인데, 12V에 1A 정도만 되어도 블랙박스 정도는 충분히 구동할 수 있습니다. XL6009가 칩이 커서 방열도 더 잘되지 않을 까 하는 마음도 있었습니다만 열은 거의 나지 않았습니다.

 

 

구매한 보드의 IN, OUT 단자에 전선을 연결한 모습입니다.

제대로된 구동을 위해서는 케이블의 최대 허용 전압, 전류도 중요합니다. 구매하실 때, 확인 후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보드를 넣을 케이스는 따로 구매하지 않고, 3G 시절 핸드폰 충전기를 뜯어서 아래와 같이 보드를 넣어 주었습니다.

 

 

 

집에 보조배터리가 몇개 있는데, 논스위칭과 패스스루가 되는게 있나하고 실험해 보았으나, 아쉽게도 패스스루를 지원하는 배터리는 있었는데, 논스위칭은 모두 지원하지 못했습니다. 아래 동영상처럼 충전 시작/종료 시점에 잠시 출력이 차단되어 버립니다.

 

 

 

 

일렉젯 20000mAh 보조배터리가 논스위칭과 패스스루를 모두 지원해서 블랙박스용 보조배터리로 좋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SD카드 표면에는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 보고, 나에게 맞는 SD카드를 구매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회사명 & 제품명

제품을 만든 회사의 브랜드와 제품명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SanDisk, SAMSUNG 등등의 회사명과 용도에 따른 제품명이 표시됩니다.


SD카드 규격

SD, SDHC, SDXC, SDUC 순으로 발전했는데, 지원하는 용량이 점차 늘어납니다.
현재 대부분 SDXC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SDXC는 64GB 이상이며, 최대 2TB를 지원합니다. 특히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는 일반 SD카드보다 크기가 작은 microSD카드를 사용합니다.

속도 클래스

C라는 기호를 사용합니다.

UHS 속도 클래스

U라는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I, II를 써서 UHS 버스 인터페이스를 표시합니다.

비디오 속도 클래스

V로 표시합니다.



먼저 어느 회사 제품을 사용할지 선택합니다. 삼성이나 SANDISK 제품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일반 SD카드인지 그보다 작은 microSD 카드인지 확인합니다.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는 microSD 카드를 사용합니다.
어떤 목적인지 선택합니다. 목적에 맞지 않는 제품을 선택하게 되면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오류가 나서 아예 동작을 안하거나 중요한 데이터가 소실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필요 용량에 맞추어 제품을 선택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용으로 사용한다면 쓰기 속도도 중요하지만 내구성이 더 중요할 것입니다. 삼성의 PRO Endurance 제품이나, SanDisk의 HIGH ENDURANCE나 MAX ENDURANCE 제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녹화할 화질이나 시간에 따라 용량을 선택할 수 있는데, 128GB 정도면 충분 할 것입니다.

목적에 맞는 제품을 골랐다면 읽기, 쓰기 속도는 어느 정도 만족하게 됩니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속도 클래스, UHS 속도 클래스 와 비디오 속도 클래스 등을 고려하여 제품을 선택하면 됩니다.
대개의 경우 숫자가 클수록 좋은 성능의 제품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