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일부 지역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어서인지 자동차 배출가스등급에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내 차의 배출가스등급을 조회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차량번호나 배출가스표지판의 인증번호를 통해서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차량번호로 조회

조회 사이트를 엽니다.

https://www.mecar.or.kr/ceg/myCar/myCarGradeCerti.do

반응형

 

개인 혹인 법인/사업자를 선택하고 "소유차량 등급조회" 를 눌러서 진행하면 됩니다. 다음 단계에서 차량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 할 수 있습니다. 차량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개인의 경우 휴대폰으로 본인 인증을 해주어야 합니다.

 

 

배출가스 인증번호를 이용한 조회

조회 사이트를 엽니다.

https://www.mecar.or.kr/ceg/myCar/myCarGradeCerti.do

 

왼쪽 메뉴중에 "배출가스표지판 등급조회" 를 선택합니다.


내차의 배출가스 인증 번호를 넣고 확인을 눌러주면 됩니다. 팰리세이드 디젤의 경우 "JMY-HD-14-96" 입니다. 팰리세이드 디젤의 경우 배출가스 3등급 차량입니다.

 



배출가스표지판은 대개 본네트를 열어서 안쪽면을 보면 찾을 수 있습니다. 팰리세이드의 경우 아래 사진과 같은 위치에 있습니다.

 

 

이상 내 차의 배출가스등급을 알아보는 방법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환경부에서는 모든 차량에 대해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양에 따라 등급을 매기고 있습니다. 이 등급에 따라 운행 제한 규제를 받게 됩니다. 서울시의 경우 2025년 부터 디젤 4등급 차량에도 일부 운행 제한 조치를 취한다고 합니다.

 

아래 경형, 소형 및 중형 승용차의 유종별 등급표입니다.

 

출처 : 환경부 홈페이지

 

표에 따르면 팰리세이드 디젤은 3등급 차량입니다. 3등급 차량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발표된 운행 규제 사항은 없습니다.

 

서울시 자료를 보면 3등급 차량은 전체 차량의 36.4%(2019년 기준)라고 합니다.  2등급 39.4%에 이어 두번째로 많습니다. 어떤 환경 문제로 언제 새로운 규제가 생길지 모를 일이지만, 등록 차량 대수가 워낙 많아서 3등급 차량까지 당장 규제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내차의 배출가스 등급은 어떻게 확인 할 수 있을까요?

본네트 내부에 배출가스 관련 표지판이 있다고 합니다. 팰리세이드의 경우 본네트를 열었을때 우측 윗쪽에 붙어 있습니다.(본네트 내부 우측 헤드라이트쪽)

 

팰리세이드는 소형승용으로 분류됩니다. 탄화수소 및 질소산화물 0.17g/km 이하(3등급 기준 0.353 g/km 이하), 입자상 물질 0.0045g/km이하(3등급 기준 0.005 g/km 이하) 로, 3등급 기준을 만족하고 있습니다.

 

내 차의 배출가스 등급을 조회하는 방법을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s://ls-al.tistory.com/238

 

내 차의 배출가스등급제 등급 조회하기,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 배출가스등급 조회방법

최근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일부 지역에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어서인지 자동차 배출가스등급에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내 차의 배출가스등급을 조회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

ls-al.tistory.com

 

 

환경부 보도 자료

https://me.go.kr/home/web/board/read.do;jsessionid=6XD23IUFFMhNHH3UY75ju1sn5YeQaucCbwF1iUkrN7QGwc42URg4ND1IXRk495JX.meweb1vhost_servlet_engine1?pagerOffset=64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searchValue=&menuId=286&orgCd=&boardId=858130&boardMasterId=1&boardCategoryId=&decorator= 

 

환경부 보도·설명 - 모든 차량을 대기오염 배출량에 따라 5개 등급으로 분류

▷ 환경부, 4월 25일부터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산정에 관한 규정 개정안 시행 ▷ 전기 및 수소차 1등급, 하이브리드차 1~3등급, 휘발유·가스차 1~5등급, 경유차 3~5등급 부여하여 관리

me.go.kr

반응형

네이버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에 대한 설명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43160&cid=43667&categoryId=43667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 산정방법에 관한 규정'에 따라 운행 중이거나 제작 단계에 있는 모든 차량을 유종(휘발유, 경유, LPG 등), 연식(생산연도),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등 오염물질의 배출 정도

terms.naver.com

 

728x90
반응형

 

Comfort 모드로 시내 주행 연비를 두번 측정했었습니다.

https://ls-al.tistory.com/181

 

팰리세이드 2.2 디젤 HTRAC(사륜)의 두번째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 측정

팰리세이드 디젤 htrac(사륜)의 두번째 풀투풀 연비 측정입니다. 2월에 출퇴근하면서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 측정을 한번 했었습니다. https://ls-al.tistory.com/155 팰리세이드 2.2 디젤 HTRAC 사륜 시내주

ls-al.tistory.com

 

 

Eco 모드로 할 경우 어느 정도 연비가 나오는지 궁금해서 시내주행 풀투풀 연비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동일한 경로를 출퇴근하였고, ISG 는 시동 후 바로 껐으며 타이어 공기압은 35 psi 입니다. 

경유를 가득 채우고 시내 주행을 하고, 다시 동일한 주유소에 가서 가득 채웠습니다.

 

트립상 연비입니다.

 

 

총 주행거리는 265.1km 이고 연비는 11.2km/L 가 나왔습니다.

평균속도는 22.2km/h 정도 됩니다.

 

 

265.1km를 주행하면서 소모한 경유의 양은 23.685리터입니다. 연비를 계산해보면 11.19km/L 입니다.

트립상 연비와 거의 일치했습니다. 

 

컴포트 모드에서는 평속 24.3km/h 에서 10km/L 정도의 연비가 나왔었는데, 에코 모드에서는 평속이 22km/h로 더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연비는 오히려 11.2km/L 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에코모드를 할 경우 어느 정도 연비 상승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행하면서 느낀 큰 차이점은, 에코모드에서는 엔진브레이크가 덜 걸려서 글라이딩 모드로 탄력 주행이 더 용이했습니다. 컴포트 모드는 일정 속도(20~30km/h??) 이하로 떨어질 때 엔진브레이크가 풀렸는데, 에코모드는 엔진브레이크가 거의 안 잡혔습니다. 이 점이 연비에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급가속을 잘 안해서인지, 가속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못 느꼈습니다.

 

이상 팰리세이드 디젤 사륜(htrac)의 에코모드 풀투풀 연비 측정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