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webp 이용

1. dwebp 설치
Ubuntu/Debian 계열: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webp


CentOS/RHEL 계열:

sudo yum install libwebp-tools


2. 변환 명령어 실행

dwebp input.webp -o output.jpg

 

 

convert (ImageMagick 사용)

1. ImageMagick 설치
Ubuntu/Debian 계열: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imagemagick


CentOS/RHEL 계열:

sudo yum install imagemagick


2. 변환 명령어 실행

convert input.webp output.jpg

 

 

ffmpeg 사용

1. ffmpeg 설치
Ubuntu/Debian 계열: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ffmpeg


CentOS/RHEL 계열:

sudo yum install ffmpeg


* ffmpeg static build 다운로드 방법은 https://ls-al.tistory.com/134 를 참고하세요.

 2. 변환 명령어 실행

ffmpeg -i input.webp output.jpg

 

728x90
반응형

https://github.com/jamiemcg/remarkable

 

GitHub - jamiemcg/Remarkable: Remarkable - The Markdown Editor for Linux http://remarkableapp.github.io

Remarkable - The Markdown Editor for Linux http://remarkableapp.github.io - GitHub - jamiemcg/Remarkable: Remarkable - The Markdown Editor for Linux http://remarkableapp.github.io

github.com

 

remarkable_1.87_all.deb
0.07MB

 

728x90
반응형

18.04 LTS 업그레이드 후, 몇가지 문제가 생겼는데 두번째 문제입니다.

우분투 PC 에서 삼바로 파일을 공유하는데, 네트워크 상에 우분투 PC가 동일 이름으로 두번 나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etc/samba/smb.conf 의 [global] 섹션에 아래 설정을 추가하고 samba를 재시작해주면 됩니다.

 

multicast dns register = No

 

 

 

 

 

아래 명령어로 재시작합니다.

 

service smbd restart

 

 

* https://askubuntu.com/questions/1138394/seeing-ubuntu-server-19-04-twice-on-clients-probably-avahi-mdns-issue

 

728x90
반응형

오래전 설치한 우분투 리눅스 업그레이드를 해보았습니다. 16.04도 아직 지원이 되는 버전이지만 내년에 종료되서 18.04로 업그레이드 합니다.

 

https://ubuntu.com/about/release-cycle

 

Ubuntu release cycle | Ubuntu

Overview of the Ubuntu release cycle - maintenance, support and security coverage, lifetime, upgrade paths, kernel versions and the range of editions and images published by Canonical.

ubuntu.com

 

14.04 LTS 를 사용중이었는데, do-release-upgrade 명령어를 이용하며 진행하였습니다. 루트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14.04 -> 16.04 업그레이드가 먼저 진행되었고 아무 문제없이 부팅이 되었습니다. 직접 수정한 패키지의 설정 파일은 그대로 유지해 주었습니다.

 

 

재부팅후 다시한번 do-release-upgrade 명령어로 16.04 -> 18.04 로 업그레이드 합니다.

완료후, 재부팅하려고 하니 systemd 관련 에러로 부팅이 안됩니다. ㅠㅠ

아래 링크 덕분에 해결 완료! 

https://blog.b-nm.at/2019/02/01/ubuntu-18-04-lts-not-booting-after-update/

 

728x90
반응형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서브타이틀 편집기 입니다.


GUI 를 통해서 편하게 편집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설치 가능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subtitleeditor


728x90
반응형

smartctl 명령을 이용하면 된다.



apt-get install smartmontools


smartctl --all /dev/sda



RAW_VALUE 값을 보면 됩니다.



  9 Power_On_Hours          0x0012   089   089   000    Old_age   Always       -       5079 => 5079 시간동안 동작했다는 의미


 12 Power_Cycle_Count       0x0032   100   100   000    Old_age   Always       -       147 => 147 회 전원이 인가됐었다는 의미


194 Temperature_Celsius     0x0002   162   162   000    Old_age   Always       -       37 (Min/Max 17/47) => 현재 온도가 37도이고, 최대 47도까지 올라갔었다는 의미







출처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1912024

728x90
반응형

MSI U100에 ubuntu 12.04 를 설치하고 나니


sd 4:0:0:0: [sdb] Asking for cache data failed
sd 4:0:0:0: [sdb] Assuming drive cache : write through


와 같은 메세지가 계속 뜹니다.


멀티 카드 리더 때문에 생기는 문제로 /etc/rc.local 에 아래와 같이 추가해 주면 됩니다.


rmmod ums_realtek

modprobe ums_realtek ss_en=0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면 됩니다.


http://askubuntu.com/questions/167343/what-is-a-asking-for-cache-data-failed-warning

http://askubuntu.com/questions/132100/errors-in-dmesg-test-wp-failed-assume-write-enabled

https://lkml.org/lkml/2011/6/16/161

728x90
반응형
http://kr.* 는 어찌된 일인지 자주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해주지 못한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403 에러를 내면서 package설치가 되지 않는다.

/etc/apt/sources.list 를 열어서 kr. 를 모두 제거했다.

http://kr.archive.ubuntu.com/ubuntu/pool/multiverse/

는 접속이 안되지만,

http://archive.ubuntu.com/ubuntu/pool/multiverse/

는 접속이 된다.
728x90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Years of YouTube Scalability Lessons in 30 Minutes  (0) 2012.07.25
ext2/ext3 Filesystem Test  (0) 2012.07.11
How to use proxy on Firefox.  (0) 2012.01.19
Advanced Linux Programming  (0) 2011.12.01
GeoIP : IP를 통해서 정보 파악  (0) 2011.11.09

ubuntu server 에서 *.pyc 파일을 실행할때 제대로 실행이 안될때는 binfmt-support 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아야 한다.

없다면!

apt-get install binfmt-support


http://bytes.com/topic/python/answers/693692-trouble-executing-pyc-files-ubuntu-server


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CGI on Apache  (0) 2012.01.30


http://shop.canonical.com/product_info.php?products_id=795

요기서 발견한 핫아이템!! Team Ubuntu ??

jersey만 구매할수는 없나??


728x90
반응형
Ubuntu linux 10.04 LTS 노트북에 설치 했습니다.
10.10이 최신 버전이지만 더 오래 지원이 되는 LTS(Long Term Support) 버전을 설치했습니다.



SCIM 입력기

iBUS는 google docs에서 한글 입력시, 입력이 제대로 안되거나 커서가 잘못된 위치로 이동되는 문제가 있어 scim을 설치했습니다.
ibus 패키지를 제거한 후에, scim-hangul 설치 하면 됩니다.


X1300 Radeon drivers
8.04에서는 aticonfig 툴을 이용해서 GPU 클럭을 조정했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proprietary Catalyst/fglrx driver" 를 설치해야 합니다.
제가 쓰는 노트북의 그래픽은 Mobility Radeon X1300인데, Lucid에서는 오픈소스 리눅스 드라이버만 사용가능했습니다.
Powerplay는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강제로 xorg.conf에서 low power mode를 할 경우, 부팅 후에 화면이 하얗게 변하고 더 이상 진행이 되지 않았습니다.


Wireless lan  끊기는 문제
wireless lan을 쓰다보면 갑자기 연결이 끊기고 아래와 같은 에러를 냅니다.
[  228.545101] iwl3945 0000:03:00.0: Error sending REPLY_RXON: time out after 500ms.
[  228.545111] iwl3945 0000:03:00.0: Error setting new configuration (-110).
[  229.045130] iwl3945 0000:03:00.0: Error sending REPLY_SCAN_CMD: time out after 500ms.
[  229.545038] iwl3945 0000:03:00.0: Error sending REPLY_TX_PWR_TABLE_CMD: time out after 500ms.
[  230.044088] iwl3945 0000:03:00.0: Error sending REPLY_SCAN_CMD: time out after 500ms.

여기에 해결책이 있습니다.
apt-get install linux-backports-modules-wireless-lucid-generic 를 해주면 됩니다. 저의 경우, 쓰다보면 한번 재연결되는 문제가 여전히 있기는 하지만 다시 연결된 후론 잘 동작합니다.


Ubuntu Lucid installation guide
http://wiki.cchtml.com/index.php/Ubuntu_Lucid_Installation_Guide


모토로이도 우분투 테마로 바꿔봤습니다.....^^






728x90
반응형
ML-1916K 프린터기를 ubuntu 리눅스 파일서버에 연결했습니다.
필요할때만 노트북에 연결해서 쓰곤했는데, 귀차니즘이란......

삼성 홈페이지에 설치 관련 상세 정보가 있어서 하라는 대로만 하면 드라이버 설치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루트 권한으로 autorun 실행하니, 프린터 추가도 자동으로 다 됩니다.

아래 링크 작업만 다로 해줬습니다.

ln -s /usr/share/cups/model/samsung /usr/share/ppd/custom/samsung

테스트 페이지도 인쇄가 잘됩니다.

그런데, CPU 점유율이 30% 정도에서 왔다갔다 합니다. smfpd 라는 프로세스가 범인이었습니다.
검색 해보니 프린터 설치할때, 설치된 데몬인 것 같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 있습니다.

USB로 연결했으니 제거해도 무방합니다. 루트 권한으로 아래를 실행해줍니다.

killall smfpd
update-rc.d smfpd disable

728x90
반응형

우분투 리눅스는 부팅중 파티션을 마운트할때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파일 시스템 체크를 수행합니다.

마운트 횟수이거나 마지막으로 파일 시스템 체크를 수행한 후, 경과한 시간이 되기도 합니다.

저와 같은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디폴트 세팅은 빈도가 너무 잦아 불편한 경우가 있습니다.
ESC를 눌러주면 되지만, 그러나 원격 서버의 경우 좀 난감하죠 ?? ^^;;

그래서 빈도를 좀 조정해 봤습니다. (루트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 tune2fs -c 100 /dev/sda5
tune2fs 1.41.11 (14-Mar-2010)
Setting maximal mount count to 100

위와 같이 해주면 /dev/sda5 파티션을 100번 마운트 할때 마다 체크하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리눅스에서 ATI 그래픽 카드의 동작 속도를 조정하는 방법입니다.

ATI 그래픽 카드는 PowerPlay라는 기능이 있어서, GPU 부하가 적을때는 동작 속도를 낮추어서 소비 전력을 줄이고 발열을 줄여줍니다.
윈도우에서는 그냥 catalyst control center 프로그램을 깔면 설정창에서 쉽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반면 리눅스에서는 catalyst control center 2.1(fglrx drvier version은 8.54.3) 이 설치되어 있는데 아무리 뒤져봐도 못찾았습니다...;;;

그래서 ATI 그래픽 설정 프로그램인 aticonfig 커맨드를 뒤져보다가 아래와 같은 방법을 찾았습니다.

먼저, 현재 설정을 볼까요?

$ aticonfig --list-powerstates
    core/mem      [flags]
-----------------
  1: 128/135 MHz  [low voltage]
  2: 324/135 MHz
* 3: 419/351 MHz  [default state]


이 설정으로 웹브라우저 하나만 띄워서 글을 쓰고 있는데, GPU 온도가 70~72도 정도를 왔다갔다 하고 있네요. 뜨끈뜨끈합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줍니다.

$ aticonfig --set-powerstate=1
$ aticonfig --list-powerstates
    core/mem      [flags]
-----------------
* 1: 128/135 MHz  [low voltage]
  2: 324/135 MHz
  3: 419/351 MHz  [default state]

몇분 후, 65도로 떨어지는 군요 !! 30여분간 웹서핑하면서 계속 지켜봤는데, 62~64 정도를 유지하고 있네요.
3450rpm 정도로 돌던 팬도 2850rpm 정도로 떨어졌습니다.

X가 도는 상태에서 설정을 자주 바꾸니 컴퓨터가 죽어버리네요... 너무 자주 바꾸면 안되겠습니다...ㅎㅎ

물론 GPU 부하가 심한 작업을 하면 이 설정은 비효율적입니다. 적어도 제가 하는 작업내에서는 매우 유용했습니다. :-)


*) 그래픽 카드 기종에 따라 PowerPlay 세팅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제 Lenovo T60 노트북은 ATI Mobility Radeon X1300 그래픽 카드가 장착되어 있는데요, 어느 시점부터 동영상 실행시 비디오가 안나오고 fglrxinfo 명령 실행시 segmentation fault가 나네요. 이런저런 잡것들을 하다가 이렇게 되었나 봅니다.

http://wiki.cchtml.com/index.php/Ubuntu_Gutsy_Installation_Guide#Segmentation_Fault_with_glxinfo.2Ffglrxinfo

에 유용한 정보가 있더라구요.. 저 같은 경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었구요.

root@#:~# fglrxinfo -display :0
libGL: XF86DRIGetClientDriverName: 8.54.3 fglrx (screen 0)
libGL: OpenDriver: trying /usr/X11R6/lib/modules/dri/fglrx_dri.so
libGL error: dlopen /usr/X11R6/lib/modules/dri/fglrx_dri.so failed (/usr/X11R6/lib/modules/dri/fglrx_dri.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libGL error: unable to load driver: fglrx_dri.so
display: :0.0  screen: 0
OpenGL vendor string: ATI Technologies Inc.
OpenGL renderer string: ATI Mobility Radeon X1300
OpenGL version string: 1.4 (2.1.8087 Release)

Segmentation fault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간단히 해결했네요.

sudo mkdir /usr/X11R6/lib
sudo ln -s /usr/lib/ /usr/X11R6/lib/modules

다른 문제는 위 링크를 참조하세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