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demo-world.eu/trailers/high-definition-trailers.php

High Definition(HD) Trailers 를 모아둔 사이트입니다. 
대부분 1080p 네요.. ^^ 한 IP당 동시 다운로드 개수가 하나만 됩니다.

m2ts 포맷으로 제공되는데, tsMuxeR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ts 포맷으로 변환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Step by step guide :
http://blog.morrigan.ch/?p=9

Supported chips:
h
ttp://kernel.org/doc/Documentation/hwmon/k10temp

* AMD Family 10h processors:
Socket F: Quad-Core/Six-Core/Embedded Opteron (but see below)
Socket AM2+: Quad-Core Opteron, Phenom (II) X3/X4, Athlon X2 (but see below)
Socket AM3: Quad-Core Opteron, Athlon/Phenom II X2/X3/X4, Sempron II
Socket S1G3: Athlon II, Sempron, Turion II
* AMD Family 11h processors:
Socket S1G2: Athlon (X2), Sempron (X2), Turion X2 (Ultra)

728x90
반응형

심심해서 코어 부활을 시도해봤습니다.
Biostar TA785G3 HD레고르 250 CPU 조합입니다.

바이오스타 메인보드는 Bio-unlocKING 기능을 통해서 코어부활을 할 수 있습니다.

구입시 기본 바이오스는 언락킹을 지원하지 않아서 최신 바이오스로 업했습니다.
USB 스틱에 다운받은 바이오스를 저장하고, 부팅 로고가 나오면 F12 키를 눌러서 업데이트 메뉴로 들어가서 파일을 선택해주면 간단하게 업데이트 됩니다.

언락킹을 지원하는 바이오스일 경우, 부팅로고 화면 왼쪽 아래에 F3/F4 키를 누르라는 메세지가 노란색으로 나옵니다.



그.....러....나.....

저는 실패했습니다...ㅠㅠ

방법이 없나하고 좀더 검색을 해보니 레고르 250은 코어부활 자체가 안된다고 합니다. 아래 두 링크 참조하세요.

http://www.kbench.com/hardware/?no=75343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1&docId=112116639&qb=66CI6rOg66W0IOy9lOyWtOu2gO2ZnA==&enc=utf8&section=kin&rank=5&search_sort=0&spq=0
지식인 링크에서 퍼온 아래 내용이 모든걸 정리한 글인듯 합니다.

amd cpu개발이 본래 4코어인 데네브인것인데 이중 코어가 여유속도에 미달하거나 캐쉬램이 불안정한경우 그 코어나 캐쉬램을 죽인상태로 판매하게됨니다. 코어2개가 미달한경우 칼리스토(2코어) 한개가미달한경우 헤카 이런식이죠. 캐쉬까지 불안정한 상태인경우 애슬론2- 프로프스(4코어)나 라나(3코어)등으로 판매된다는 설이 있죠.

 

여기서 칼리스토가 코어가 모두부활하게되는경우가 칼네브 , 헤카의 코어가 살아나는경우가 헤네브라 사람들이 부르는것이구요.

라나 cpu가 코어가 살아나면 라나푸스, 라나에서 캐시까지 살아나면 라네브가되는것이죠. 문론거의 드물구요.

여기서 레고르(2cpu)는 제조하는게 아에 다르다고 함니다 그래서 레고르는 코어부활이 없어요.


덧붙이자면 사르가스의 경우 레고르에서 코어를 죽여서 판매되는 제품이라고 합니다. 사르가스도 코어부활이 되는 제품입니다. 레고르220의 경우 코어부활이 된다고 합니다...;;; 레고르 중에 유일한듯?? 합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 판매는 안되고 있습니다. 


전압 다이어트나 해볼랍니다........

728x90
반응형
현재 "레고르250+785G+하드2개" 조합으로 파일 서버, 영화감상 등등의 목적으로 사용중입니다.
파일서버는 말할 것도 없고, 하드웨어 디코딩 지원으로 왠만한 동영상 파일은 문제없이 보고 있습니다.

좀 더 저전력으로 구성할 순 없을까 라는 욕심에 아톰으로 눈을 돌리게 됐습니다 !!

일단은 조사중인데,, NM10+ATOM D510 조합으론 720P까진 재생 가능한것 같지만 풀HD 이상의 고화질 TP 재생은 버거워 보입니다.. 소비전력도 구성에 따라서 천차 만별인거 같구요...
현재 시스템보다는 낮겠지만 얼마나 낮출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전압조정이나 기타 해볼만한 설정을 통해서 소비전력을 낮추는 시도를 먼저 해보는게 나아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지난 6월 Biostar의 TA785G3 HD 를 구입했습니다.(국내 유통은 유니텍) 현재 다나와 기준으로 구입당시에 비해 11,000원 정도 올랐습니다. 아무래도 출시한지 좀 되서겠죠? 판매몰도 적어서 가격적인 메리트는 별로 없습니다. 이 보드 소개가 주목적은 아니구요...ㅎㅎ

이 보드를 구입하면서 Biostar 라는 회사를 처음 알게됐지만, 꽤 오래된 회사네요. 심지어 ASUS 보다 오래된 회사였습니다.!!! 인지도면에서 ASUS가 월등?? 하겠지만...

오버 클럭 세계 3위를 기록했다는 이 기사도 바이오스타라는 회사 제품을 선택하는데 한몫했습니다. 저는 물론 오버클럭을 하지는 않지만 그만큼 보드 안정성이 괜찮다는 말이 아닐까 합니다?
3개월 가까이 써오면서 사용중에 죽는 경우도 없었고.. 안정성이 떨어진다라고 생각해본적도 없네요.. 슈퍼 유저가 아니라 그런가?ㅎㅎ

ASUS나 GIGABYTE에 비해서 인지도는 떨어지지만 가격적으로 저렴한 Biostar 제품을 한번쯤 고려해보는것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AMD의 대표적인 내장 그래픽 코어 비교 자료입니다.

785G 칩셋에 이어 880G 칩셋이 내장그래픽 보드의 대표적인 칩셋이 되어갑니다.

결론적으로 HD4200, HD4250 와 HD4290은 기능면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으며, 코어/메모리 클럭 상승으로 인한 성능의 차이만 있는듯 합니다. 아래 벤치마크 중에, HD4200 core clock을 767Mhz 정도로 오버한 테스트가 있습니다.

새 코어 모두 H.264/MPEG2/VC-1 등 대표적인 비디오 코덱 디코딩이 가능한 UVD2를 지원합니다. 하드웨어 디코딩을 지원하므로 HD4200 정도면 동영상 감상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가벼운 3D게임도 가능하구요...

고사양 게임 안한다는 전제만 있다면 AMD 내장 그래픽은 최고입니다!



728x90
반응형


작년초에 팬에서 소리가 많이 나서 T60 노트북을 10만원 가까이 주고 수리한적이 있었습니다.
수북한 먼지에 팬이 고장난 것이라고 하더라구요.. 구입 후, 한번도 청소해 주지 않았으니 그럴만도 하겠다 싶었죠.

그래서 예방차원에서 집에 있는 노트북 청소를 해주기로 했습니다. 일단 넷북부터 시작해 봅니다.
주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팬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먼저, 오늘 먼지 제거의 일등공신이 될 DR 747 입니다.


먼저 U100이 부터 시작해 봅니다. U100은 밑면을 완전 분리해야 청소 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넷북을 뒤집어서 배터리를 분리합니다. 그리고, 아래 그림의 빨간색 동그라미에 있는 나사들을 크기가 맞는 +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모두 풀어줍니다.



2. 모두 열었으면 플라스틱을 분리합니다. 먼저 오른쪽을 위로 올려서 열고, 왼쪽방향으로 살짝 민 후에, 위로 당겨야 잘 분리가 됩니다.

3. 분리한 모습입니다. 부품들이 빼곡히 있네요..



4. 먼지들 입니다...;;;




5. 747로 먼지를 날려줍니다. 사진상으론 팬쪽에 먼지보단 환기구쪽에 먼지가 많았는데, 팬속에서도 먼지가 많이 나오네요..;;; 속에 덕지덕지 붙어 있었나 봅니다.

6. 청소 후 모습니다.




깔끔해졌죠? ^____^ 속이 후련하네요 !!

7. 이제 다시 조립해줍니다. 조립시에, 배터리 꼽는 부분의 아래 동그라미 부분이 잘 맞게 들어갔는지 확인하시구요..


8. 배터리 꼽고, 켜봅니다. 잘켜지네요 :-)




이번에는 T60 차례입니다. T60의 경우, 터치패드 부위와 키보드만 뜯어내도 어느 정도 청소가 가능합니다.
밑면에서 키보드 모양이 있는 나사만 골라서 풀어줍니다.





수리 후, 일년 반 정도 된 후의 모습입니다... 하루 2~3시간 정도 사용하는데 먼지가 꽤 많습니다.

747로 공기 배기구쪽도 잘 불어줍니다. 강하게 불어주다 보면 큼지막한 먼지 덩어리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


728x90
반응형

우분투 리눅스는 부팅중 파티션을 마운트할때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파일 시스템 체크를 수행합니다.

마운트 횟수이거나 마지막으로 파일 시스템 체크를 수행한 후, 경과한 시간이 되기도 합니다.

저와 같은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디폴트 세팅은 빈도가 너무 잦아 불편한 경우가 있습니다.
ESC를 눌러주면 되지만, 그러나 원격 서버의 경우 좀 난감하죠 ?? ^^;;

그래서 빈도를 좀 조정해 봤습니다. (루트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 tune2fs -c 100 /dev/sda5
tune2fs 1.41.11 (14-Mar-2010)
Setting maximal mount count to 100

위와 같이 해주면 /dev/sda5 파티션을 100번 마운트 할때 마다 체크하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애플에서 출시 예정인, Apple TV 입니다. 저렴한 가격에,,, 기대되네요 :-)
물론 한국에서는 당장 서비스 안되겠지만?

4년전 출시한 애플 TV를 통해서 애플이 파악한 소비자의 요구사항이랍니다..

- Hollywood movies & TV shows
- Everything in HD
- Lower prices for content
- Don't want a computer
- Don't want to manage storage
- Don't want syncing
- Silent, cool & small

완전 공감되서 놀라고, 크기에서 또 한번 놀라고,,, 가격도 후덜덜하네요..

애플TV는 제목에서 보여주듯 이더넷을 통한 스트리머에 중점을 둔듯합니다. IP STB와 유사한 것 같습니다.

구글TV는 애플TV의 이더넷 스트리밍 기능을 포함한, 기존 위성,지상파 및 케이블 까지 포함하는 것 같습니다. 애플TV와 제품의 기능면에서 차이가 나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워 보이지만 어떤 제품이 더 큰 반향을 일으킬지.... :-)


728x90
반응형
리눅스에서 ATI 그래픽 카드의 동작 속도를 조정하는 방법입니다.

ATI 그래픽 카드는 PowerPlay라는 기능이 있어서, GPU 부하가 적을때는 동작 속도를 낮추어서 소비 전력을 줄이고 발열을 줄여줍니다.
윈도우에서는 그냥 catalyst control center 프로그램을 깔면 설정창에서 쉽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반면 리눅스에서는 catalyst control center 2.1(fglrx drvier version은 8.54.3) 이 설치되어 있는데 아무리 뒤져봐도 못찾았습니다...;;;

그래서 ATI 그래픽 설정 프로그램인 aticonfig 커맨드를 뒤져보다가 아래와 같은 방법을 찾았습니다.

먼저, 현재 설정을 볼까요?

$ aticonfig --list-powerstates
    core/mem      [flags]
-----------------
  1: 128/135 MHz  [low voltage]
  2: 324/135 MHz
* 3: 419/351 MHz  [default state]


이 설정으로 웹브라우저 하나만 띄워서 글을 쓰고 있는데, GPU 온도가 70~72도 정도를 왔다갔다 하고 있네요. 뜨끈뜨끈합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줍니다.

$ aticonfig --set-powerstate=1
$ aticonfig --list-powerstates
    core/mem      [flags]
-----------------
* 1: 128/135 MHz  [low voltage]
  2: 324/135 MHz
  3: 419/351 MHz  [default state]

몇분 후, 65도로 떨어지는 군요 !! 30여분간 웹서핑하면서 계속 지켜봤는데, 62~64 정도를 유지하고 있네요.
3450rpm 정도로 돌던 팬도 2850rpm 정도로 떨어졌습니다.

X가 도는 상태에서 설정을 자주 바꾸니 컴퓨터가 죽어버리네요... 너무 자주 바꾸면 안되겠습니다...ㅎㅎ

물론 GPU 부하가 심한 작업을 하면 이 설정은 비효율적입니다. 적어도 제가 하는 작업내에서는 매우 유용했습니다. :-)


*) 그래픽 카드 기종에 따라 PowerPlay 세팅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제 Lenovo T60 노트북은 ATI Mobility Radeon X1300 그래픽 카드가 장착되어 있는데요, 어느 시점부터 동영상 실행시 비디오가 안나오고 fglrxinfo 명령 실행시 segmentation fault가 나네요. 이런저런 잡것들을 하다가 이렇게 되었나 봅니다.

http://wiki.cchtml.com/index.php/Ubuntu_Gutsy_Installation_Guide#Segmentation_Fault_with_glxinfo.2Ffglrxinfo

에 유용한 정보가 있더라구요.. 저 같은 경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었구요.

root@#:~# fglrxinfo -display :0
libGL: XF86DRIGetClientDriverName: 8.54.3 fglrx (screen 0)
libGL: OpenDriver: trying /usr/X11R6/lib/modules/dri/fglrx_dri.so
libGL error: dlopen /usr/X11R6/lib/modules/dri/fglrx_dri.so failed (/usr/X11R6/lib/modules/dri/fglrx_dri.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libGL error: unable to load driver: fglrx_dri.so
display: :0.0  screen: 0
OpenGL vendor string: ATI Technologies Inc.
OpenGL renderer string: ATI Mobility Radeon X1300
OpenGL version string: 1.4 (2.1.8087 Release)

Segmentation fault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간단히 해결했네요.

sudo mkdir /usr/X11R6/lib
sudo ln -s /usr/lib/ /usr/X11R6/lib/modules

다른 문제는 위 링크를 참조하세요..
728x90
반응형

메인으로 사용하는 PC를 업그레이드하고 남는 PC 또는 구형이라 굴러다니는 PC 등으로 홈서버를 꾸며 볼까? 라는 생각을 많이들 하셨을 것입니다. 저도 이런 생각을 쭈욱 해왔었죠,,,

얼마전에 드디어! 홈서버를 마련하였습니다. 서버라고 하니 거창한데, 파일 서버가 주목적입니다.
이런 저런 자료를 수집하면서 얻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포스팅을 올립니다. 참고로 PC로 구성하는 홈서버입니다.. ^^;;

그 첫번째 고려 사항으로

소비 전력

입니다.

홈서버 특성상, 평상시에도 켜두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상당히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용도에 따라 성능도 중요한 요소가 되겠지만 저 같은 경우 성능은 그리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성능이 좋으면 좋겠지만, 소비전력에 비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적정선에서 타협을 보아야 합니다.

제가 관심을 가지고 있던 시스템과 유사한 시스템의 소비 전력입니다. 실제로 전력계로 직접 측정한 값입니다.

1. AMD Regor 245
CPU : AMD 레고르 245(TDP 65W)
M/B : ASUS M4A785T-M
RAM : DDR3-PC8500 1Gx2
HDD : SATA2 Seagate ST31000528AS
VGA : ATI RADEON HD4200(내장)
POWER : HEC Rapter 500W

중급 정도 사양의 데스크탑입니다.

  • Off : 1.2~1.3W  (파워 서플라이에 전원케이블만 꼽은 상태로 PC는 꺼져있음)
  • Idle : 51W (부팅 후, 5분 정도 지났을때)
  • 1x full load : 69W (코어 하나 사용율 100%)
  • 2x full load : 82.5W (두 코어 모두 사용율 100%)

위와 같으며 Idle 상태에서 하드가 슬립모드로 들어가니 5W 정도 소비 전력이 감소했습니다.
외국에는 245e, 250e CPU도 판매를 하는데, 이들은 TDP45W 설계된 CPU로서 위보다 더 소비전력이 감소하는 시스템이 될듯합니다.

2. Intel E7300
CPU : Intel 울프데일 E7300(TDP 65W)
M/B : ASUS P5KPL-AM
RAM : DDR2-PC6400 1Gx 2,
HDD : SATA2 WDC WD6400AAKS-0
VGA : ATI RADEON HD2600 XT(외장)
POWER : SEASONIC 300W

Intel CPU로 구성한 중급 정도 사양입니다. VGA는 그냥 굴러다니는걸로 조립한 것이라 비루합니다..

  • Off : 4.0~4.5W
  • Idle : 73W
  • 1x full load : 78W
  • 2x full load : 90W

1번 사양에 비해 off시 소비전력이 꽤 높습니다. 외장 VGA와 파워가 영향을 주는 듯 합니다.

3. Lenovo T60 Laptop

  • Off : 1.3W 
  • Idle : 22W
  • Idle (LCD off) : 13W
  • 1x full load ; 30W
  • 2x full load : 34W

제가 사용중인 랩탑입니다. 당연하겠지만 상당히 낮은 전력을 소비합니다.


4. MSI U100

  • Off : 0.7W
  • Idle : 12W
  • Idle (LCD off) : 10.4W
  • 2x full load : 15.5W

넷북이 막 출시되는 시점에 출시되었던 MSI U100 입니다. 접해본 아톰 플랫폼은 이 넷북이 유일합니다.
아톰이 저전력 넷탑에 적합한 시스템인 만큼 홈서버로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저전력 넷탑 시스템을 테스트해보지 못한 것이 아쉽네요..
참고로, N330으로 구성한 넷탑의 Idle 시 소비전력이 25W 정도 된다는 포스팅을 보았습니다.

5. Intel Pentium 4-2.6C
CPU : P4-2.6C Ghz(Northwood, HT)
M/B : ASUS P4P800-SE
HDD : SATA2 HDD x2
POWER : HEC Windmill 400W
VGA : Radeon 7000VE AGP

  • Off : 2W
  • Idle : 73W(FSB 800), 70W(FSB 400)
  • 1x full load : 130W
  • 2x full load : 131W

집에 굴러다니는 PC인데, 그냥 참고삼아 올려봅니다. 꽤 높습니다.
위 사양에서 CPU를 P4-3Ghz(Prescott, HT)로 바꿨더니 Idle시에 100W를 넘어가 버렸습니다...;;;
잠시 홈서버로 사용해볼까 고민했었는데, 소비전력도 소비전력이거니와 너무 시끄러워서 그냥 포기했습니다.


위와 완전 똑같은 사양이 아니더라도 비슷한 사양을 구입할 경우, 위의 소비전력과 거의 비슷할 것입니다.

 

파코즈 검색도 유용합니다. "측정" 으로 검색해보세요.

http://www.parkoz.com/zboard/zboard.php?id=low_power&select_arrange=headnum&desc=asc&page_num=75&selected=&exec=&sn=off&ss=on&sc=off&category=0&keyword=%C3%F8%C1%A4+%B7%B9%B0%ED%B8%A3&x=22&y=12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