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파일 서버로 운영중인 PC에 스마트 플로그를 달았습니다.

 

원격으로 강제로 전원을 끄고 켜는 것과 소비전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달았습니다. 

 

서버는 i5-4670K CPU를 사용하는 오래된 PC 입니다.

파워는 소비전력을 조금이나마 줄여보고자 SUPER FLOWER의 80PLUS GOLD 인증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모두 SSD를 사용중입니다.

 

 

 

알리에서 구매한 스마트 플러그입니다. Wifi 2.4Ghz로 연결되는 제품입니다.

 

 

 

Smart Life앱에 기기 추가를 하고, 소비전력을 알아봤습니다.

 

부팅하고 5분 정도 경과 했을때 소비전력입니다. 아이들 상태로 25~30W 정도 소모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CPU부하가 많이 걸리는 상태에서는 어떤지 알아 보기 위해서 동영상 인코딩을 하면서 소비 전력을 측정해봤습니다.

파일 서버로만 쓰고 있어서 CPU 부하가 거의 없는 상태이지만 가끔 트랜스코딩을 하기 때문에 동영상 인코딩이 전기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테스트 일 것 같습니다.

 

 

 

간단히 5분 정도만 인코딩했는데, 60~90W 정도 소모하고 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저전력 CPU에 비하면 전성비가 많이 떨어지지만 아이들 상태에서 30W 정도면 어느정도 수용할 만한 것 같습니다. 무소음 저전력 홈서버를 구축하고 싶은 꿈이 있었는데 잠시 접어두기로 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현재 "레고르250+785G+하드2개" 조합으로 파일 서버, 영화감상 등등의 목적으로 사용중입니다.
파일서버는 말할 것도 없고, 하드웨어 디코딩 지원으로 왠만한 동영상 파일은 문제없이 보고 있습니다.

좀 더 저전력으로 구성할 순 없을까 라는 욕심에 아톰으로 눈을 돌리게 됐습니다 !!

일단은 조사중인데,, NM10+ATOM D510 조합으론 720P까진 재생 가능한것 같지만 풀HD 이상의 고화질 TP 재생은 버거워 보입니다.. 소비전력도 구성에 따라서 천차 만별인거 같구요...
현재 시스템보다는 낮겠지만 얼마나 낮출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전압조정이나 기타 해볼만한 설정을 통해서 소비전력을 낮추는 시도를 먼저 해보는게 나아 보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