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전력을 조금이라도 아끼고 발열을 줄이고자 레고르 전압 다이어트 해봤습니다.

먼저 메인보드에서 공급 중인 기본 전압 니다.

Core VID :  1.4350V (CPU Core 전압)
NB VID : 1.1750V (North Bridge 전압)

레고르 250은 스펙상 Core 전압이 1.4250V 인데, 약간 높게 들어가고 있습니다.

Core 전압의 경우, 기본 -0.2V는 가능하다고 하기에 내려봅니다.

Core VID : 1.2250V
NB VID : 1.0750V
2시간 스트레스 테스트 가뿐히 통과합니다.

더 낮춰봅니다.

Core VID : 1.1875V
NB VID : 1.0750V
이 세팅으로는 윈도우 부팅하다 재부팅됩니다. 코어 전압이 너무 낮은가 봅니다.

수차례 테스트를 통해서 저는 아래 전압으로 결정했습니다.

Core VID : 1.2250V
NB VID : 1.0250V


Core VID 1.2V 에서 2시간 이상 스트레스 테스트해보니 문제가 없었는데, 혹시나 하는 마음에 약간 올려서 세팅했습니다.

부팅 후 10분 정도 지났을 때의 온도를 비교해보니 4℃ 감소했습니다!!
나중에 시간 될때, 소비전력도 측정해 볼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심심해서 코어 부활을 시도해봤습니다.
Biostar TA785G3 HD레고르 250 CPU 조합입니다.

바이오스타 메인보드는 Bio-unlocKING 기능을 통해서 코어부활을 할 수 있습니다.

구입시 기본 바이오스는 언락킹을 지원하지 않아서 최신 바이오스로 업했습니다.
USB 스틱에 다운받은 바이오스를 저장하고, 부팅 로고가 나오면 F12 키를 눌러서 업데이트 메뉴로 들어가서 파일을 선택해주면 간단하게 업데이트 됩니다.

언락킹을 지원하는 바이오스일 경우, 부팅로고 화면 왼쪽 아래에 F3/F4 키를 누르라는 메세지가 노란색으로 나옵니다.



그.....러....나.....

저는 실패했습니다...ㅠㅠ

방법이 없나하고 좀더 검색을 해보니 레고르 250은 코어부활 자체가 안된다고 합니다. 아래 두 링크 참조하세요.

http://www.kbench.com/hardware/?no=75343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1&docId=112116639&qb=66CI6rOg66W0IOy9lOyWtOu2gO2ZnA==&enc=utf8&section=kin&rank=5&search_sort=0&spq=0
지식인 링크에서 퍼온 아래 내용이 모든걸 정리한 글인듯 합니다.

amd cpu개발이 본래 4코어인 데네브인것인데 이중 코어가 여유속도에 미달하거나 캐쉬램이 불안정한경우 그 코어나 캐쉬램을 죽인상태로 판매하게됨니다. 코어2개가 미달한경우 칼리스토(2코어) 한개가미달한경우 헤카 이런식이죠. 캐쉬까지 불안정한 상태인경우 애슬론2- 프로프스(4코어)나 라나(3코어)등으로 판매된다는 설이 있죠.

 

여기서 칼리스토가 코어가 모두부활하게되는경우가 칼네브 , 헤카의 코어가 살아나는경우가 헤네브라 사람들이 부르는것이구요.

라나 cpu가 코어가 살아나면 라나푸스, 라나에서 캐시까지 살아나면 라네브가되는것이죠. 문론거의 드물구요.

여기서 레고르(2cpu)는 제조하는게 아에 다르다고 함니다 그래서 레고르는 코어부활이 없어요.


덧붙이자면 사르가스의 경우 레고르에서 코어를 죽여서 판매되는 제품이라고 합니다. 사르가스도 코어부활이 되는 제품입니다. 레고르220의 경우 코어부활이 된다고 합니다...;;; 레고르 중에 유일한듯?? 합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 판매는 안되고 있습니다. 


전압 다이어트나 해볼랍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